본문 바로가기

뉴스타파 N 주제별 보기/사회

밀양의 눈물 밀양의 눈물 국회의 중재로 이뤄진 밀양의 평화는 5개월을 못 채웠다. 지난 10월 1일, 한국전력은 밀양 주민들의 ‘대승적 이해’를 촉구하는 대국민 성명과 함께 초고압 송전탑 공사 재개를 강행했고, 때 맞춰 밀양시는 주민들의 움막을 철거하는 행정대집행에 나섰다. 이를 막는 주민들은 필사적이었다. 철거반과의 충돌 과정에서 위험한 상황이 계속 됐지만, 주민들은 물러서지 않았다. 6시간의 긴 싸움 끝에 하루 더 움막을 지킬 수 있었지만 이 싸움이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전은 헬기를 이용해 자재를 수송하며 공사를 재개됐다. 주민들은 공사현장으로 향하는 도로 길목에 농기계로 바리케이드를 치고 ‘무덤’이 될 웅덩이를 팠다. 일부는 쇠사슬로 자신의 몸을 움막에 묶었다. 단식 농성 등을 벌이고 있는 고.. 더보기
김우중 은닉자금 방콕은행에? 김우중 은닉자금, 방콕은행에 있나? 뉴스타파가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은닉자금 향방에 대해 중요한 단서를 찾아냈다. 뉴스타파는 ICIJ, 즉 국제탐사보도 언론인 협회가 확보한 PTN 내부 이메일과 자산관리공사와 김우중 회장 사이에 진행됐던 민사소송 판결문(2008.1.25. 선고)을 통해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은닉자금이 다수의 페이퍼 컴퍼니와 방콕은행 계좌를 통해 거래된 사실을 확인했다. 뉴스타파는 지난 7월 김우중 전회장의 아들 김선용 씨가 옥포공영이라는 회사를 통해 베트남의 호화 골프장인 번찌 골프장을 실제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도한 바 있다. 당시 뉴스타파의 보도 내용은 지난 93년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따낸 베트남 골프장 개발사업권이 ‘노블 에셋’과 ‘노블 베트남’이라는 유령회사.. 더보기
주류협회의 '공염불' 사회적 책임 주류협회의 '공염불' 사회적 책임 경기도 일산에 위치한 카프병원. 알코올 중독 치료병원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이자 하나밖에 없는 비영리 공익기관이다. 1996년, 술에 건강부담금을 부과하는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법안이 통과된다면 주류업체들은 술 한 병당 5원씩, 매년 100억 원 가량을 부담해야 했다. 이 법안은 부결됐지만 보건복지부가 연이어 건강증진기금 부과 계획을 발표하는 등 술에 대한 건강부담금은 사회적 호응을 얻으며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그러자 지난 2000년, 주류업체들로 구성된 한국주류산업협회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며 기금을 조성해 ‘카프’ 재단을 설립했다. 재단을 통해 알코올 중독 전문 병원을 세우고 매년 운영비 50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각서를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 그 후 건강부담금.. 더보기
‘뉴라이트 교과서’ 대해부 ‘뉴라이트 교과서’ 대해부 -자료 58%가 인터넷 출처...부실 투성이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313쪽에 게재된 ‘학도병 이우근’ 사진에 등장하는 소년은 이우근이 아닌 신원미상의 인물. 262쪽에 실린 동아일보 초대 주필인 장덕수의 기사는 다른 독립 운동가 ‘조우’의 글로 확인. 이처럼 이번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지적된 오류는 400여 건. 다른 교과서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수정 보완 작업을 거쳐서 최종 검정에 통과했지만, 한국역사연구회 등 4개 학술단체는 교학사 교과서 최종본도 오류가 298건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고종 독살설’과 ‘김성수의 행적’ 등은 시민참여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의 내용을 어미 등만 살짝 고쳐 베낀 것으로 확인됐다. 교학사 교과서의 참고 자료의 출처를 보 니 58%가.. 더보기
천안함은 금기? 천안함은 금기? ‘천안함 프로젝트’라는 한 독립영화가 영화 개봉 하루만인 지난 6일 멀티플렉스 체인 ‘메가박스’로부터 상영정지 통보를 받았다. 특정 단체의 항의로 인해 관객의 안전에 위협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이에 한국의 영화인들이 지난 9일 외신기자클럽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에 대한 진실을 규명할 것을 촉구하며 ‘천안함 프로젝트’의 재상영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2013년을 관통하고 있는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 이 영화가 우리 사회에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지금 영화인들은 왜 한 목소리로 표현의 자유를 외치고 있는 것일까? 뉴스타파는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를 둘러싼 논란을 통해 대한민국의 오늘을 진단해본다. 더보기